메인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KOCCA포커스 통권 197호] 글로벌 경쟁 환경 속 국내 게임산업의 생존 전략 2025.09.25 156

한국 게임산업은 지난 20년간 아시아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성장했지만, 기존의 강점만으로 지속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전략적 전환이 필요한 상황임. 이에 따라 본 보고서는 국내 게임산업이 '세계 주류'로 도약하기 위한 다섯 가지 전략을 제시함

# 키워드: 게임산업, 게임, 콘텐츠, 콘텐츠산업, ESG, IP, 현지화, 생존 전략, 경쟁력 제고 방안

통권 197호 2025.09.12 | KOCCAFOCUS | 글로벌 경쟁 환경 속 국내 게임산업의 생존 전략 | KOCCAFOCUS | 한국콘텐츠진흥원/KOREA CREATIVE CONTENT AGENCY(로고) | 글로벌 경쟁 환경 속 국내 게임산업의 생존 전략 | 김아람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 산업정책팀 주임연구원 kar8422@kocca.kr | 권구민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 산업정책팀 선임연구원 kwongm@kocca.kr | SUMMARY ㅇ국내 게임산업의 성과와 구조적 도전 과제 •지난 20여 년간 한국 게임산업은 온라인·모바일 게임 중심으로 아시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성장했으나, 현재는 중국 시장 진입 제한, 북미·유럽 시장에서의 낮은 인지도, 플랫폼 변화 대응 지연 등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음. 기존의 강점만으로는 지속 성장이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전략적 전환이 시급한 상황임 ㅇ글로벌 시장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경쟁 요인 •게임은 이제 단순 콘텐츠 수출이 아니라 기술플랫폼 운영 역량을 포괄하는 생태계 경쟁으로 전환되었고, 크로스 플랫폼 보편화, AI와 클라우드 접목, 게임 IP 확장, 초현지화된 라이브 서비스 운영, ESG 규범 대응 등이 새로운 성공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음 •국내 게임업계는 반복적인 과금 중심 BM에서 벗어나 차별화된 기술력과 글로벌 수용성을 확보해야 함 ㅇ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제언 •향후 국내 게임산업이 '아시아 강자'를 넘어 '세계 주류'로 도약하기 위해 다섯 가지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단기적 성과 중심에서 벗어나 장기적 경쟁 우위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페이지의 콘텐츠 안내 및 정보 제공에 만족하십니까?

평가하기